CNG 충전소 경영악화 가중 ‘지방 곳곳 휴·폐업 늘어’
페이지 정보
본문
CNG 충전소 경영악화 가중 ‘지방 곳곳 휴·폐업 늘어’
- 유재준 기자
수송요금 인상 여파 및 전기차 대비 경쟁력 상실
충전소 폐업 시 시내버스 운행 중단 사태 불가피
정부, CNG 충전소 지원 위한 대책마련 서둘러야
CNG충전소들의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어 정부의 지원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사진은 운영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진 CNG충전소.
[가스신문 = 유재준 기자]우리나라 대기환경 개선에 큰 기여를 한 CNG (천연가스)충전소들의 경영환경이 급속히 악화되며 존폐위기에 놓여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정부가 유통사업 개선과 안정적인 공급을 목적으로 CNG에 톤당 24,000원씩 부과하는 수입부과금 중 일부를 당초 목적에 맞게 충전소 지원사업에 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그동안 국내 CNG 충전업계는 자동차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경유버스를 CNG 버스로 교체하는 정부정책에 적극 협조하며 지난 2002년부터 현재까지 약 1500만톤의 수송용 CNG(천연가스)를 시민의 발인 시내버스에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 19를 겪으며 버스승객이 감소하고 CNG가격의 급격한 인상으로 가스요금을 체납하거나 휴업 또는 폐업하는 충전소가 증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CNG 충전업계에 따르면 지난 2020년 12월 600원/N㎥이던 CNG 요금이 2022년 12월 1,600원/N㎥로 160% 인상되었으며 CNG 공급량도 연 13억 N㎥에서 연 10억 N㎥로 급속히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전기 및 수소 대비 가격 경쟁력을 잃어가면서 9년 운행기간이 끝나는 버스들이 대거 전기 및 수소버스로 전환해 가고 있어 약 200여개에 달하는 CNG 충전소들이 향후 4~5년 내 문을 닫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CNG 충전업계의 한 관계자는 “그동안 CNG 버스는 전국 곳곳을 누리며 대중 교통의 모세혈관과 같은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얼마 전 목포의 한 CNG 충전소가 급등하는 연료가격으로 연체를 계속하다가 영업을 중단했다. 연료를 공급받지 못한 버스들이 운행을 중단하며 사회적인 문제가 발생했고 시민단체들이 나서 정상화위원회를 구성하고 수습책을 마련해 한달 만에 운행이 재개됐으나 이는 근본적이 아닌 미봉책일 수밖에 없다”며 “CNG 공급량 감소로 영업이 중단된 충전소는 비단 목포 뿐만 아니라 군산, 순천, 춘천, 원주, 파주, 김포 등 전국적인 현상으로 도미노처럼 나타나고 있다. 대중교통인 버스운행을 중단할 수 없어 모두 적자를 감수하며 운영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CNG 충전사업자는 버스운행 중단 피해를 막기 위해 휴업 및 폐업을 할 수도 없는 절박한 상황인데도 해결책을 마련해야 하는 정부의 의지는 찾아 볼 수 없다. 지속되는 가격경쟁력 하락과 경영악화로 휴업과 폐업하는 CNG 충전소들이 계속 늘어나면 결국 시민의 발인 CNG 버스도 멈추고 시민들의 피해와 민원은 상상이상으로 커질 것이다. 정부의 조속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CNG 충전업계에서는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정부가 유통사업 개선과 안정적인 공급을 목적으로 CNG 톤당 24000원씩 징수하는 수입부과금 중 일부를 CNG 충전사업자의 유통사업 개선과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지원해서 버스운행 중단에 따른 시민들의 피해를 사전에 막는 것이 당초 부과금 징수목적에도 부합한다는 것이다.
한 관계자는 “충전소 존폐에 따른 직원들의 고용문제, 가족들의 생계문제도 문제이지만 수십 년간 정부정책에 부응하며 친환경 충전사업에 몸담고 있다가 어느 순간 사양산업으로 몰리며 문을 닫는다면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도가 땅에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대중교통 정책이 전기 및 수소 위주로 간다고 해도 그동안 대기환경 개선에 일익을 담당한 CNG 충전소들이 연착륙을 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정책을 검토하고 실시해주길 간곡히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이전글천연가스자동차 연료비 보조예산 삭감 우려 확대 23.10.26
- 다음글[사설] 도시가스 계절별 요금제 폐지해야 23.09.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