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공지소식

수소뉴스

이미지

수소뉴스

산업부, 수소차 셀프 충전 등 수소산업 규제 개선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291회 작성일 22-09-20 18:25

본문

printlogo_20170809011248.gif 


산업부, 수소차 셀프 충전 등 수소산업 규제 개선
  •  유정근 기자
  •  2022.08.29 


박일준 2차관, 국내 최초 셀프 수소충전소 방문
수소산업분야 규제개선 목록.수소산업분야 규제개선 목록.

[투데이에너지 유정근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가 수소산업분야 혁신과제 19건을 선정해 전문가 검토 등을 거쳐 합리적 개선에 나선다.

산업부는 박일준 산업부 2차관이 29일 국내최초 셀프 수소충전소인 인천공항 T2 수소충전소를 방문해 안전장치 등 셀프 실증 준비상황을 점검하고 셀프충전을 시연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국내 수소충전소는 미국, 일본 등 해외와 달리 운전자의 직접 충전을 금지하고 있어 수소차 운전자의 편의성 제고 및 수소충전소 경제성 확보를 위해 셀프충전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산업부는 지난해 12월 규제샌드박스 승인을 거쳐 셀프충전 안전관리 규정, 셀프충전용 안전장치(충전기 동결방지, 충전노즐 낙하방지 장치 등) 및 충전제어 프로그램 개발을 완료했으며 30일부터 수소에너지네트워크(하이넷)이 운영하는 인천공항 T2 수소충전소에서 일반국민이 참여하는 셀프충전 실증을 본격 개시할 예정이다.

셀프충전의 경우 1kg 당 300~400원이 할인된 가격이 적용돼 5kg 충전시 1,500~2,000원의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산업부는 지난 6월부터 수소기업, 유관기관 전수조사와 간담회 등을 통해 수소 규제와 관련한 다양한 건의를 받아 이 중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기업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수소안전 전주기에 걸쳐 19개 과제(생산 7건, 저장·운송 4건, 충전소·활용 8건)를 신속히 개선하기로 했다

또한 추가 검토가 진행 중인 나머지 과제들도 관련부처 검토를 거쳐 4분기까지 개선방안을 확정하고 수소 전주기별 규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규제 지도도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에 개선되는 수소안전 분야 주요 규제혁신은 △수소충전소 설치 방호벽 유형의 다양화 △수전해 설비 스택 특성을 고려한 검사기준 개발 △열분해 방식의 수소생산설비 안전기준 마련 △사업소 밖 LNG 배관 설치 및 안전기준 마련 등이다.

수소충전소 설치 방호벽 유형의 다양화에 따라 기존에는 충전소 밖의 보호시설(주택 등) 보호를 위한 방호벽의 경우 특정 유형(철근콘크리트제)의 방호벽만 허용됐으나 방호벽 강도가 동등한 경우 철근콘크리트제 이외에도 콘크리트블럭, 강판제 등 다양한 유형의 방호벽도 설치가 가능하게 됐다.

수전해 설비 스택 특성을 고려한 검사기준 개발에 따라 기존에는 수전해 설비 내 핵심부품인 스택이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따라 내구성 검증을 위해 파열시험 실시대상이었으나 파열시험 대신 컴퓨터시뮬레이션(전산구조응력해석) 등을 통해 스택의 내구성 검증하는 검사기술 및 기준 개발을 추진하게 됐다.

열분해 방식의 수소생산설비 안전기준 마련에 따라 기존에는 폐플라스틱 등 연료의 열분해 방식의 수소생산설비는 현행 ‘수소법’ 하위  가스기술기준상 ‘수소추출설비’ 범위에 포함되지 않았으나 다양한 수소생산설비의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해 열분해 방식의 수소생산설비도 수소추출설비 범위에 포함하고 안전기준이 마련됐다.

사업소 밖 LNG 배관 설치 및 안전기준 마련에 따라 기존에는 기체천연가스(NG) 배관과 달리 액화천연가스(LNG, -162℃) 배관을 사업소밖에 설치하기 위한 안전기준이 부재해일부 민간기업은 사업소 밖에 LNG배관 설치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번 규제 개선을 통해 LNG 배관 설치 및 안전기준이 마련될 예정이다.

박일준 산업부 2차관은 “수소 셀프충전은 충전소 운영시간 확대, 저렴한 수소가격 등 운전자의 충전 편의성 향상과 운영비 절감 등 충전소의 경제성 제고라는 점에서 수소차 운전자와 충전소 사업자 모두를 만족시키는 바람직한 규제개선 사례”라며 “산업부는 앞으로도 수소산업 뿐만 아니라 에너지안전분야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면서 사용자와 기업의 입장에서 모두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규제혁신 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개선해 기업환경을 활성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